본문 바로가기
정보

조심해야할 호흡기 질환 메르스 증상, 대응에 대해서

by 행복한 하루! 2020. 12. 27.

호흡기 질환 메르스 증상, 대응에 대해서 간단히

 

안녕하세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건강 이슈가 대두되고 있는 지금,

여태 발생된 호흡기 질환은 보통 어떻게 대처를 했는지,

결국 어떤 대처를 통하여 잠식 시켰는지

궁금한 사항이 몇가지 있어 중동호흡기증후군으로 잘 알려진

메르스(MERS)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짚어봤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읽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 뉴스를 찾고 글을 작성하오니,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메르스란?

메르스는 코로나바이러스의 한 종으로 2012년 6월 처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견된 신종 전염병 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전염병은 메르스 외에도 사스(SARS)가 있으며 두 병 모두 감기 증상과

호흡기 질환을 동반합니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동물 숙주에게서 사람으로 옮겨가는 바이러스로 알려졌습니다.

WHO는 낙타 메르스 바이러스를 옮긴 숙주일 수 있다고 발표햇지만

정확한 감염 경로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

메르스를 일으키는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환자와 환자 간의 가까운 접촉을 통해서도 옮겨갈 수 있습니다.

지난 2015년 당시 중동, 유럽, 아시아의 27개국 국가에서 메르스가 발병한 바 있습니다.

메르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는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호흡기 증후군 입니다.

이는 자주 폐렴이나 급성 신부전과 같은 합병증으로도 이어진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감염자들은 대부분 나이 든 남성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전문가들은 감염 패턴에 정확한 이유를 찾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같은 바이러스에도 불구하고 증상에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고 더했습니다.

전염 경로는?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대부분 기침과 재채기에 노출되는 등 밀접접촉이 감염으로

이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WHO는 지금까지의 감염 사례들이 모두 사람과 사람 사이 접촉으로 전염됐다고 보고 있다.

얼마나 위험할까?

전문가들은 메르스 바이러스가 '아주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는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메르스의 전염성이 더 높았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발병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메르스 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들은 대부분이 내구성과 생존성이 약해서 체외에서

오직 하루만을 살아남을 수 있고 세정제, 청결제 등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중 보건 전문가들은 메르스 바이러스가 일반 대중들에게 끼치는 위험성은 매우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려도 분명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접촉을 통해 국제적으로 퍼져간다면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까지 다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학계도 아직 뚜렷한 치료법을 찾지 못하고 있고, 백신도 없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

메르스가 더 퍼진다면 전 세계적 재앙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우선 중동 지역 여행 시에는 감기와 재채기 등 메르스 증상을 보이는 현지인 혹은 낙타와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 체력과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건강을 관리하고 손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기본적일 수 있지만 이를 위해 비누로 손을 자주 씻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으며, 문 손잡이 등 사람 손이 자주 닿는 곳을 청결하게 소독하고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또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마스크를 쓰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어디서 온 걸까?

전문가들은 아직 확인할 수 없지만, 대부분 감염자가 중동지역에서 살았거나

그 지역을 여행했던 것으로 미루어 아라비아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바이러스가

발생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 그들은 오랜기간 동물 사이에서만 전염되던 병이 뒤늦게 인간에게 전파됐을 가능성도

염두해 두고 있습니다.

또 조심해야 할 바이러스들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는 흔지 않지만, 코로나바이러스 자체는 대부분 사람이 살면서

한번쯤은 다 걸려봣을 정도로 흔한 바이러스입니다.

이 바이러스의 이름은 표면 왕관 모양의 돌기들 때문에 왕관이라는 뜻의 라틴어 코로나가

붙어 코로나바이러스로 명명 됐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1960년대 처음으로 발병이 확인 됐습니다.

이 후 바이러스는 여러가지 변종을 양산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사스가 있습니다.

대부분 코로나바이러스는 대개 하나의 동물 종 혹은 극히 소수의 밀접한 관련

종에만 감염이 됐지만, 사스의 경우는 원숭이, 고양이, 개, 설치류 등 사람과 동물 다수의 종을

감염 시켰습니다.

사스는 또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와 달리 전염성이 강해 수많은 사상자를 낸 바 있습니다.

사스는 2003년 처음 중국과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발병한 이후 약 8,000여 명의 감염자를 냈습니다.

이는 한국을 포함해 북미, 남미, 유럽 등지로 퍼져나갔습니다.

하지만 2004년 이후 사스 발병 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습니다.

댓글